*모두의 네트워크
9) 물리 계층의 역할과 랜 카드의 구조
물리계층: 데이터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기 위해 필요
아날로그 신호: 물결 모양 전기 신호
디지털 신호: 막대 모양 전기 신호
랜카드: 컴퓨터의 네트워크 연결 및 데이터 전송 담당, 0과 1 <-> 전기신호
10) 케이블의 종류와 구조
전송매체: 데이터가 흐르는 물리적인 선로
-유선: 트위스트 페어 케이블, 광케이블
-무선: 라디오파, 마이크로파, 적외선
트위스트 페어 케이블(=랜 케이블)
UTP 케이블: 구리선 8개를 2개씩 꼬아 만든 4쌍의 전선, 실드가 없어서 노이즈에 영향을 받음
STP 케이블: 구리선 8개를 2개씩 꼬아 만든 선을 실드로 보호함, 노이즈에 영향이 적고 비쌈
다이렉트 케이블: 구리선 8개를 같은 순서로 커넥트에 연결한 케이블, 주로 컴퓨터와 스위치를 연결할 때
크로스 케이블: 한쪽 커넥터의 1번과 2번을 다른쪽 커넥터의 3번과 6번에 연결한 케이블, 나머지 4개는 사용하지 않음, 주로 컴퓨터 간에 직접 랜 케이블을 연결할 때
11) 리피터와 허브의 구조
리피터: 전기 신호를 정형하고 증폭하는 기능을 가진 네트워크 중계 장비, 1:1 통신만 가능, 요즘은 사용하지 않는다
허브: 포트 여러 개를 가지고 있음, 컴퓨터 여러 대와 통신이 가능, 전기 신호를 정형하고 증폭시킴, 전기 신호를 모든 포트에 보냄
12) 데이터 링크 계층의 역할과 이더넷
데이터링크 계층: 랜에서 데이터를 주고 받기 위해서 필요함, 네트워크 장비 간에 신호를 주고받는 규칙을 정하는 계층, 랜에서 데이터를 정상적으로 주고받기 위해 필요한 계층
이더넷: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규칙, 보내려는 데이터에 목적지 정보를 추가해서 보내고 목적지 이외의 컴퓨터는 데이터를 받더라도 무시함, 여러 컴퓨터가 동시에 데이터를 전송 해도 충돌이 일어나지 않는 구조
충돌: 데이터를 한 번에 하나만 전송 할 수 있는 채널에 전송장치 2개가 같은 시점에 패킷을 보낼 때 일어나는 데이터 충돌
CSMA/CD: 이더넷에서 시점을 늦추는 방법 -> 효율이 좋지 않아서 현재 사용하지 않음
13) MAC 주소의 구조
MAC 주소: 물리주소, 전세계에서 유일한 번호
이더넷 헤더: 목적지 MAC 주소(6바이트) + 출발지 MAC 주소(6바이트) + 유형(2바이트)
유형: 프로토콜 종류를 식별하는 번호
트레일러: FCS, 데이터 전송 도중에 오류가 발생하는지 확인
프레임: 이더넷 헤더와 트레일러가 추가된 데이터
14) 스위치의 구조
스위치: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동작, 내부에 MAC 주소 테이블 있어서 MAC 주소 학습 가능
플러딩: 스위치가 수신 포트 이외의 모든 포트에서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
15) 데이터가 케이블에서 충돌하지 않는 구조
전이중 통신 방식: 데이터의 송수신을 동시에 통신하는 방식, 데이터를 동시에 전송해도 충돌이 일어나지 않음, 직접 랜케이블로 연결하거나 스위치 사용 시
반이중 통신 방식: 회선 하나로 송신과 수신을 번갈아가면서 통신하는 방식, 데이터를 동시에 전송하면 충돌이 생김, 허브 사용 시
충돌 도메인: 충돌이 발생할 때 그 영향이 미치는 범위, 허브의 경우 접속되어 있는 모든 컴퓨터이며 스위치의 경우 허브보다 범위가 적음
16) 이더넷의 종류와 특징
이더넷 규격: 통신 속도 + 전송 방식 + 케이블 종류
댓글